[국어] 문법론(품사) 요약 하기 / 국어학 문법론(품사) 요약 하기 ① 품사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8:06
본문
Download : [국어] 문법론(품사) 요약하기.hwp
- 직능면에서의 성질 한 단어가 문장 안에서 하는 일, 다시 말하면 한 문장 안에서 한 단어가 다른 단어와 맺는 관계를 가르킨다. - 의미면에서의 성질 문법적 성질이 같은 단어들을 대개 의미면에서도 공통점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상의 특징을 품사 분류의 기준으로 삼는다. (3) 흔히 명사를 정이할 때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명사 및 품사의 본질에 잘 맞지 않는 정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애매하므로 보조적인 기준으로만 분류해야 한다.
국어 문법론품사 요약 하기 / 국어학 문법론품사 요약 하기 ① 품사의
[국어] 문법론(품사) 요약 하기 / 국어학 문법론(품사) 요약 하기 ① 품사의
설명
![[국어] 문법론(품사) 요약하기-106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AD%EC%96%B4%5D%20%EB%AC%B8%EB%B2%95%EB%A1%A0(%ED%92%88%EC%82%AC)%20%EC%9A%94%EC%95%BD%ED%95%98%EA%B8%B0-1067_01.gif)
![[국어] 문법론(품사) 요약하기-106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AD%EC%96%B4%5D%20%EB%AC%B8%EB%B2%95%EB%A1%A0(%ED%92%88%EC%82%AC)%20%EC%9A%94%EC%95%BD%ED%95%98%EA%B8%B0-1067_02_.gif)



Download : [국어] 문법론(품사) 요약하기.hwp( 40 )
순서
국어학 문법론(품사) 요약하기 ① 품사의 定義(정의), 분류와 기준 (1) 품...
국어학 문법론(품사) 요약하기 ① 품사의 정이, 분류와 기준 (1) 품사의 정이 - 단어를 그 문법적 성질에 따라 분류한 한 갈래 한 갈래를 가리킨다. -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는 특성(特性)이 명사 고유의 특성(特性)이라 할 수 있다아 (2) 불완전 명사로 ‘것’, ‘데’, ‘수’, ‘바’, ‘자(者)’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뒤에 격조사를 취하며, 그 앞에 관형어를 취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명사로 인정 받는다. 그 이유는 - 명사가 단순히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가 아닌 ‘모든’이라는 관형사의 꾸밈을 받고 ‘를’이라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국어학 문법론(품사) 요약하기 ① 품사의 정의, 분류와 기준 (1) 품...
다. 그러나 의미만으로 나눈다면 세계 모든 언어의 품사는 같아지고 말 것이다. ② 명사 (1) 명사의 정이 - 명사는 뒤에 격조사를 취할 수 있으며, 그 앞에 관형사를 비롯한 관형어가 놓일수 있는 단어들로서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다. (2) 품사 분류의 기준 - 형태면에서의 성질 어떤 단어가 어미를 취하여 굴절을 하면 ‘굴절어’라 하고 그렇지 않은 단어를 ‘비 굴절어’라 하는데, 단어를 품사로 나눌 때 에는 우선 그 단어가 굴절하는 단어인지 아닌지를 가려 분류하고, 그런 다음 굴절하는 단어는 그 굴절 방식이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다시 품사를 나누어야 한다. 직능은 단어에 따라 몇가지로 달리 나타나므로 품사 분류는 이 직능에도 크게 의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