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관계의 주체가 아닌 자가 당사자적격을 가지는 경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9:38본문
Download : 20041m_minsaso.hwp
그러나 구체적인 소송 즉 사법심사에 있어서의 당사자로서 어떠한 판결을 구할 수 있는 자격인 당사자 적격과는 다르다.
당사자적격 자가 당사자 적격 당사자적격의조사 당사자적격흠결의효과
순서
소송당사자라 함은 법원에 대하여 자기의 이름으로 권리보호행위를 요구하는 자와 그의 상대자를 말한다.
Ⅶ. 결 론
권리관계의 주체가 아닌 자가 당사자적격을 가지는 경우
Ⅳ. 당사자적격의 기준
2. 1 의의
Ⅱ. 당사자적격의 정의 및 기능
1. 일반적인 경우
2. 당사자적격의 기능
Ⅲ. 당사자적격의 소송상의 efficacy
Ⅵ. 당사자적격흠결의 efficacy
2. 권리관계의 주체가 아닌 자가 당사자적격을 가지는 경우
당사자적격 자가 당사자 적격 당사자적격의조사 당사자적격흠결의효과(效果) / (당사자적격흠결의 효과(效果))
이에 다음에서는 당사자적격 중 권리관계의 주체가 아닌 자가 당사자적격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행정행위에 관한 사법심사에 있어서 중요한 뜻을 갖는 것은 사법심사를 청구하는 자 즉 당사자 적격에 관한 문제이다. 소송당사자가 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기 이름으로 권리보호를 요구하고 또 상대방이 될 수 있는 능력 즉 소송상의 권리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바 이를 가리켜 당사자 능력이라고 한다.





2. 3 임의적 소송담당
당사자적격 자가 당사자 적격 당사자적격의조사 당사자적격흠결의효과 / (당사자적격흠결의 효과)
Ⅰ. 서 론
◉참고한 문헌 ◉
2. 2 법정소송담당
Download : 20041m_minsaso.hwp( 68 )
1. 당사자적격의 정의
설명
Ⅴ. 당사자적격의 조사
레포트 > 기타
다. 당사자 능력은 구체적인 소송의 내용과는 관계없이 일반적 추상적으로 스스로를 원고로서 소송을 제기하고 피고로서 소송을 제기당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데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행정행위에 대한 사법심사에 있어서의 소송당사자는 그 사법심사를 청구한 자, 즉 국민과 심사의대상인 행정행위를 행한 자 즉 행정청이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당사자 능력은 일반적․추상적인 소송상의 권리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민사상의 권리능력과 어느 정도 평행하여 특별한 중요성이 없으며, 사법심사를 받는 자 즉 행정청에 대하여는 문제될 만한 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