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한 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22:10본문
Download : 관한 분쟁.hwp
논쟁의 추이
동 해역이 日本 해로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1929년 국제수로기구(IHO)의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제1판에서 국제수로기구 창립 회원국이었던 日本 의 주장에 따라 日本 해로 표기하면서부터이다. 한국에서는 동해가 역싸적으로 `동해(Oriental Sea)` 또는 `한국해(Sea of Korea)`로 불려 왔으므로 `동해(East Sea)`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日本 은 `日本 해(Sea of Japan)`가 19세기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된 이름이며 이를 그대로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Download : 관한 분쟁.hwp( 89 )
관한 분쟁
분쟁,인문사회,레포트
동해명칭에 관한 분쟁
한반도와 日本 열도, 연해주 및 사할린 섬에 둘러싸인 바다에 대한 호칭 및 명명(命名)에 대한 분쟁이 있다 이 바다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日本 , 러시아 등 4개국의 주권과 관할권이 미치는 해역으로, 이들 연안국의 영해와 EEZ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동해`(東海), 북조선에서는 `조선동해`(朝鮮東海), 日本 에서는 `니혼카이`(日本海(にほんかい)), 러시아에서는 `야폰스코예 모레`(Японское море, 日本 해)로 부르고 있으며, 한국과 日本 양측의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이 분쟁은 양측이 국내에서 사용하는 명칭에 관한 것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명칭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1991년 남북한이 …(dro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관한 분쟁
관한 분쟁 , 관한 분쟁인문사회레포트 , 분쟁
순서
다. 가장 최근에 나온 『해양과 바다의 경계』는 1953년 발간된 제3판이며, 여기에도 日本 해로 단독 표기되어 있다 한국은 1957년 국제수로기구에 가입하였고, 1970년대부터 日本 해 명칭에 이의를 제기했다. 당시 한국은 日本 에 국권을 피탈 당한 상태였다. 이에 1974년 국제수로기구는 특정 바다의 인접국 간에 명칭 합의가 없는 경우, 당사국 모두의 명칭을 병기하도록 하는 기술적인 권고를 하였으나, 日本 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입장을 지지하지만 `조선동해(East Sea of Korea)`로 표기하기를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