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link.co.kr 접합 다이오드 特性 > coinlink7 | coinlink.co.kr report

접합 다이오드 特性 > coinlink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link7

접합 다이오드 特性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4:38

본문




Download : 접합 다이오드 특성.hwp




실험2접합다이오드예비복서 , 접합 다이오드 특성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접합 다이오드 特性에 대한 자료입니다.
즉, A에 +전위를 가해주고 동시에 K에 -전위를 가해주면 다이오드는 통전상태(스위치가 ON)가 되어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의 전위를 가해주면 다이오드는 차단상태(스위치 OFF)가 되어 회로에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된다. p와 n-tipy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든 것을 다이오드라고 하며 pn junction 이라고도 한다.

II. 이 론

(1) 다이오드(Diode)의 동작원리와 구조
◆ 동작원리 :
다이오드는 일종의 전자스위치로서 무 접점 스위치라고도 한다.

순서

접합 다이오드 特性




접합%20다이오드%20특성_hwp_01.gif 접합%20다이오드%20특성_hwp_02.gif 접합%20다이오드%20특성_hwp_03.gif 접합%20다이오드%20특성_hwp_04.gif 접합%20다이오드%20특성_hwp_05.gif





I. 목 적

다이오드(Diode)의 동작원리와 구조이해와 전류-전압의 순방향 및 역방향 속성 의 곡선을 알아보고 다이오드를 이용한 반파 정류(Half-Rectification)에 상대하여 알아본다.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A쪽에 양(+)의 전위, K쪽에 음(-)의 전위가 걸릴 때를 통전상태(스위치가 ON된 상태)라 하고, 반대로 A쪽에 음(-)의 전위, K쪽에 양(+)의 전위가 걸릴 때를 차단상태(스위치 OFF)라 한다.
◆ 다이오드의 구조 :
다이오드는 `+`의 전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p형 물질과 `-`의 전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n형 물질을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한쪽 방향으로는 쉽게 전자를 통과시키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통과시키지 않는 속성 을 가지고 있다 p는 인듐(In)이나 갈륨(Ga)과 같은 물질을 규소에 합성하여 `+`ingredient(hole:정공)이 많게 만든 물질이고, n은 비소(As)나 안티몬(Sb)과 같은 물질을 규소에 합성하여 `-`ingredient(electron:전자)이 많도록 만든 물질이다. 밑의 그림을 보면 다이오드의 기호로서 왼쪽 부분의 A를 애노드(Anode: 양극) 또는 P(Positive: 양(+))라 하고, K를 캐소드(Kathode: 음극) 또는 N(Negative: 음(-))이라 부른다.

설명
레포트/기타

Download : 접합 다이오드 특성.hwp( 61 )





test(실험) 2접합다이오드예비복서

접합 다이오드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란?
초기의 반도체 소자는 게르마늄(Ge)으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주로 열에 덜 민감한 실리콘(Si)으로 만들고 있…(skip)

다.
전체 31,16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lin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