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고장 특색음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3:17본문
Download : 우리고장 특색음식.hwp
남쪽지방의 곡식보다 차지고 맛이 구수하다. 특히 콩의 품질이 뛰어나고 잡곡의 생산량이 많아서 이 지방에서는 주식으로 기장밥, 조밥 등 잡곡밥을 주로 먹는다. 동치미도 담가 땅에 묻어놓고 살얼음이 생길 때쯤 혀가 시리도록 시원한 맛을 즐기는데, 이 동치미 국물에 냉면을 말아 먹기도 한다. 무는 굵게 채썰어 절이고 좁쌀로 밥을 지어 식힌 다음 위의 재료와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양념과 엿기름을 체에 쳐 나온 흰가루를 섞어 한데 버무린다. 이것을 김치 담그듯 항아리에 꼭꼭 눌러 담아 3,4일 삭히면 점차 익으면서 물이 생기고 새큼한 맛이 난…(drop)
Download : 우리고장 특색음식.hwp( 55 )
설명
순서
다. 음식의 간은 세지도 맵지도 않은 담백한 맛을 즐기지만 한편으로는 고추와 마늘같은 양념을 많이 써서 강한 야성적인 맛을 즐기기도 한다. 콩이 좋은 지방이라 콩나물을 데쳐서 물김치도 담근다.
명태, 청어, 대구, 연어 등의 해산물이 풍부하고, 주 요리에는 가자미 식혜, 다시마냉국, 동태순대, 명란젓, 창란젓 등이 있다
음식의 생김새는 큼직하고 시원스러우며 장식이나 기교, 사치를 부리지 않는다.
함경도에서 가장 추운 지방은 영하 40도까지 내려가기도 하므로 김장은 11월 초순부터 담그는데, 젓갈은 새우젓이나 멸치젓을 약간 쓰고 소금간을 주로 한다.






우리고장 특색음식
우리고장특색음식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우리고장특색음식 , 우리고장 특색음식생활전문레포트 ,
(1) 함경도
☞가자미 식혜 ☞동태순대 ☞감자국수
◈용어해설
(2) 평안도
※이복쟁반
☞굴만두(굴린만두) ☞평양냉면 ☞되비지 ☞내포중탕
◈용어해설
(3) 황해도
☞연안식혜 ☞남매죽 ☞김치순두부 ☞행적
◈용어해설
(4) 경기도
☞개성편수 ☞조랭이 떡국 ☞개성주악 ☞개성모약과
◈용어해설
※서울.경기도
(5) 강원도
☞감자경단 ☞감자송편 ☞오징어 불고기 ☞메밀 막국수 ☞총떡
◈용어해설
※강 원 도
(6) 충청북도
☞호박꿀단지 ☞굴병국 ☞호도 짱아치 ☞쇠 머리떡
※충청북도
※충청남도
(7) 경상도
☞호박꿀단지 안동 식혜와 건진국수 ☞재첩국 ☞대구탕 ☞벌떡게장
☞용어해설
※경상북도
※경상남도
(8) 전라도
☞홍어 어시국 ☞두루치기
※전라북도
※전라남도
(9) 제주도
☞자리물회 ☞옥돔구이 ☞고사리국 ☞양애산적
※제 주 도
◈bibliography◈
(1) 함경도
함경도는 한반도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백두산과 개마고원이 있는 험악한 산간지대이며 기후가 냉한 관계로 밭곡식이 많다. 그리고 동태?가자미?대구를 썰어 깍두기나 배추김치 포기 사이에 넣고 김치국물을 넉넉히 붓는다. 한편 함경도와 닿아 있는 동해안은 세계 3대 어장의 하나로 담백한 생선이 많이난다. 고구마와 감자도 품질이 좋아서 녹말을 가라앉혀서 반죽하여 국수틀에 눌러먹는 냉면이 발달하였다. 함경도 회냉면은 홍어?가자미 등 생선을 맵게 무친 회를 냉면에 얹어 비벼먹는 독특한 음식으로, ꡐ다대기ꡑ라는 말도 이 고장에서 나온 말로 고춧가루에 갖은 양념을 넣어 만든 것을 말한다.
☞가자미 식혜
싱싱한 참가자미에 소금을 뿌려 절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