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량實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06:06
본문
Download : 유량실험.hwp
면적식은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넓어진 수직관 속에 플로트(float)를 넣고, 유체를 아래에서 위로 흘려보내고, 유체류에 밀어올려진 플로트의 전후에생기는 차압에 의한 부력(浮力)과 플로트의 무게를 평형시켜 플로트의 위치에서 유량을 안다.
2. 理論(이론)
⑴유량계
유량계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비교적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에 날개차 유량계차압식 유량계면적식 유량계가 있따 이 중에서 날개차 유량계가 제일간단한 것으로 흐름에 의해 날개차를 돌려, 그 회전수를 기어의 메커니즘으로 지시한다.
순서
1. 목적
유체가 흐르는 임의의 단면에서 유체의 체적 또는 질량의 시간에 대한 유동 비율을 유량이라고 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수도의 미터가 이것을 이용하고 있따
차압식과 면적식은 주로 공업방면에서 사용된다 차압식은 관 속에 벤투리관오리피스노즐 등의 조리개를 넣어, 그 전후 압력차를 차압계로 측정(測定) 하여, 그 측정(測定) 값을 기본으로 유량을 잰다. 이 밖에 일정한 부피의 용기로 직접 유체의 양을 측정(測定) 하는 것도 있으며, 도시가스의 가스미터는 그 일종이다. 유량은 직접 측정(測定) 하는 방식과 국부유속을 측정(測定) 하고 유로단면에 대하여 유속을 적분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따 본 실험에서는 유량을 직접 측정(測定) 하는 방식 중에서 부자식(float type) 유량계와 오리피스(orifice)유량계 그리고 유속을 측정(測定) 하는 방식 중 피토 튜브(potot tube)의 동작원리와 사용 방법을 이해한다.
또 유량계 중에서 물의 유량을 측정(測定) 하는 것을 수량계라고 하는 경우도 있따 이상의 여러 계기 외에 물 정도 이상의 도전성을 가진 유체에 대하여는 유체가 자기장 속에 있을 때,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꺼내어 그때의 유량을 아는 전자기유량계가 있따 이것은 철강업이나 수력발전소 등에서의 유수량의 측정(測定) 에 사용되고 있다
⑵부자식(float type) 유량계
그림 로라미터
로타미터(rotameter) : 수직으로 장치되어 상부에열린 …(skip)
유량실험,기타,실험과제






설명
유량實驗
실험과제/기타
유량실험 , 유량실험기타실험과제 , 유량실험
유량實驗
Download : 유량실험.hwp( 13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