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일본)의 중국(中國)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7:27본문
Download : 일본의중국사연구와아시아적.hwp
그러므로 서구본위의 관점에서 해방된 현대의 경제사학계는 참다운 세계사적인 시야에 입각하여 동양,서양의 구별없이 모든 사회경제의 歷史적 본질의파악에 협력하지 않으면 안될 단계에 이르고 있는 만큼 농업사학 또한 세계사적 관점에서 개별적 민족국가의 농업생활구조와 그 변천과정이 서술은 물론 다시 종합된 세계농업사의 출현이 요청되고 있따 이런 점에서 서양의 동양농업에 대한 인식과 그 평가를 통해서 동양농업을 실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theory(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순서
동양농업 중국(中國)농업인식 소경영생산양식 부업생산연구 / ()
중화인민공화국도 중국사회의 이념을 규정해온 마르크시즘을 불가피하게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재해석하기에 이르러 1978년 11기 3중전회 이후 특히 1988년 이후 이른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재평가 논의로 만개되었다
Ⅲ. 일본의 중국농업인식
日本(일본)의 중국(中國)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그리고 이런 문제를 포괄한 중국의 근대성에 관련한 문제에 마주향하여 는 80년대를 주도했던 중국의 ‘문화열’논쟁을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Ⅳ.부업생산 연구의 의의
동양농업 중국농업인식 소경영생산양식 부업생산연구 / ()
2.戰後의 연구동향--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의 적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주로 국내연구서들을 이용하여 토착적인 측면에서 자생적인 측면에서 아시아적생산양식이라는 논리의 평가와 재정립이라는 문제에 접근해보려 한다. 이런 점에서 ‘학문적 身土不二적 자세’가 요청된다. 농업생활은 어떠한 고립적인 개人生(인생)활이 아니고 사회적 집단내에서 농업경제이외의 다른 여러 문화요소와의 관련하에서 영위되는 것이므로 농업의 구조와 변천도 지리적인 환경,기술의 수준은 물론 정치,법제,사회,문화의 제현상형태에 이르기까지의 광범한 영역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따 이런 것은 농업사연구에서 농민의 주체적인 측면에 대한 고찰이 적었다는 점으로 연결된다. 농업사는 농업생활의 구조적 발전의 변동사라고 정이할 수 있으며 그 분야는 농업생산수단의 발달과 이에 의한 농업생산성이 동시에 전사회에서 가장 지배적인 생산구조에 마주향하여 어더한 관련을 가지고 歷史적으로 발전해왔는가 그 변동과정을 사적변증법에 의하여 구체적,현실적으로 구명하고 그 실천적 동향을 구명함을 임무로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본고에서는 농업사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필자의 문제의식과 관련되는 부분에 한정하여 고찰해보려 한다. 그리고 그 범위는 물질적 획득수단, 노동수단, 농업기술의 변천을 기본하여 농민생활의 제관계 및 농업체제 다시 그 상부구조의 반작용까지 추론하여야 한다. 그리고 우리 사회도 학문과 사상, 문화 전반에 걸쳐서 외래사상과 전통사상이 지닌 문제점(問題點)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기존의 사상의 폐해를 합리적 지양과 자주적 창발을 위한 철학적 기초를 확립하려는 움직임이 있따 유초하, 「전통의 비판적 계승과 사회歷史적 요인에 대한 반성적 성찰」, 월간 󰡔사회와 사상󰡕 전권특별기획2(90년대 한국사회의 쟁점), pp.361-371.
(4)소경영생산양식의 출현과 의의
1.마르크스의 동양농업인식
설명
Download : 일본의중국사연구와아시아적.hwp( 35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부업생산연구의 당위성
1.재생산구조 연구의 의의
(3)漢末三國以來中世社會論에 의한 연구
(1)齊民支配體制論와 그 한계
나. 본론
다. 맺음말
가. 서론 (연구의 동기)
(2)아시아적 생산양식론적 연구와 그 한계
2.마르크스 이후의 동양농업인식
동양농업 중국농업인식 소경영생산양식 부업생산연구
1.戰前의 연구동향
Ⅱ. 마르크스주의의 동양농업인식





<중국고대의 부업생산과 관련하여>
용배경과 관련하여
Ⅰ. 서양의 전통적 동양농업관과 그 influence(영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