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10:28본문
Download :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해서.hwp
![[통증의학]%20근막동통%20증후군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6%B5%EC%A6%9D%EC%9D%98%ED%95%99%5D%20%EA%B7%BC%EB%A7%89%EB%8F%99%ED%86%B5%20%EC%A6%9D%ED%9B%84%EA%B5%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통증의학]%20근막동통%20증후군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6%B5%EC%A6%9D%EC%9D%98%ED%95%99%5D%20%EA%B7%BC%EB%A7%89%EB%8F%99%ED%86%B5%20%EC%A6%9D%ED%9B%84%EA%B5%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통증의학]%20근막동통%20증후군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6%B5%EC%A6%9D%EC%9D%98%ED%95%99%5D%20%EA%B7%BC%EB%A7%89%EB%8F%99%ED%86%B5%20%EC%A6%9D%ED%9B%84%EA%B5%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통증의학]%20근막동통%20증후군에%20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6%B5%EC%A6%9D%EC%9D%98%ED%95%99%5D%20%EA%B7%BC%EB%A7%89%EB%8F%99%ED%86%B5%20%EC%A6%9D%ED%9B%84%EA%B5%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통증의학]%20근막동통%20증후군에%20대해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6%B5%EC%A6%9D%EC%9D%98%ED%95%99%5D%20%EA%B7%BC%EB%A7%89%EB%8F%99%ED%86%B5%20%EC%A6%9D%ED%9B%84%EA%B5%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5.gif)
![[통증의학]%20근막동통%20증후군에%20대해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6%B5%EC%A6%9D%EC%9D%98%ED%95%99%5D%20%EA%B7%BC%EB%A7%89%EB%8F%99%ED%86%B5%20%EC%A6%9D%ED%9B%84%EA%B5%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6.gif)
설명
근막동통 증후군
1.定義(정의)
근막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은 발통점증후군 이라고도 하며 근육과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fascia)의 병소에서 기인하는 통증 증후군 (pain syndrome)의 일종이다.
근막 발통점
-근조직과 그와 관련된 근막에 위치한 골격근의 긴장된 띠내에 존재.
-자극에 매우 민감한 reaction 을 보이는 지점.
-압박했을 시 통증
-연관통(referred pain), 압통(tenderness), 자율신경계 현상을 유발하는 부위
-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근육은 발통점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긴장된 띠도 없고 압통, 연관통, 자율신경계 현상을 갖지 않음
-어느 골격근에서나 생길 수 있음. 작은 덩어리로 만져짐 혹은 유착상태로 촉진
발통점의 생리
-발통점과 관계된 긴장된 띠는 전기적인 활동없이 근절의 단축으로 발생하므로 중추신경계로부터 중재되지 않으며 단지 발통점 부위의 에너지 순환의 이상으로 인해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reaction →생리학적 구축
-급성적, 만성적으로 과부하되어 나타는 염좌의 결과로 근소포체가 손상되어 Ca++이 계속 방출되어 액틴과 마이오신 필라멘트사이에 강한 상호작용을 일으켜 근절이 짧아지며 근수축 상태를 형성
-근 소포체가 손상되어서 Ca++펌프가 작용되지 않아 그…(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해서.hwp( 60 )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해서 ,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해서의약보건레포트 ,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해서
순서
[통증의학],근막동통,증후군에,대해서,의약보건,레포트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하여
[통증의학]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하여
레포트/의약보건
다. 우리 몸이 건강한 상태에서는 어느 특government 위에 압통이 생기지 않지만, 임상적으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골격근 내에 발통점(Trigger point) 이라고 부르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과민부위가 생기고, 장력이 형성되며, 이 불필요한 장력은 근막(근육을 싸고 있는 막)의
운동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아울러 근막 주위의 신경, 혈관, 근육 또는 다른 신체부위의
생리학적 움직임에 effect(영향) 을 주게 되고, 결국은 몸의 활동력을 떨어뜨리고 자세에까지도
effect(영향) 을 준다. 발통점이 자극되었을 때 각 발통점의 위치에 따라 특정 부위에 재현되는
연관통을 그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