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00:06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hwp
제 6차 교육과정이 개정방침 및 주안점에서는 분권화의 의의 및 필요성(必要性)이 주로 학생의 필요와의 관련 속에서 설명(說明)되고 있다 즉, ‘모든 수준의 교육과정 결정이 분권화와 자율화는 궁극적으로 학생의 필요에 따르는 교육내용의 적합성을 올리는데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만일 이렇게 보는 것이 어느 정도라도 타당하다면 우리의 의문은 당장, ‘교과’의 내용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필요’나 ‘요구’를 고려한다는 것이 도대체 무슨 뜻을 갖는가 하는 것이다, 우선, 고려되어야 하는 ‘필요’가 무엇을 지칭하는지도 불명료 하지만 (예컨대 그것은 학생의 장래 직업을 고려하자는 것인가 또는 학생이 주로 생활하게 될 지역의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사범교육
먼저 적합성의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과연 교육과정의(定義) 적합성이란 무엇이며 분권화된 교육과정은 어떤 점에서 학생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이...
다. (한명희 외, 1992, p.75) 그러나 이것이 곧 6차 교육과정이 ‘생활 중심’ 교육과정 이론(理論)을 따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사범교육,레포트
교육과정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
Download : 교육과정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hwp( 44 )
먼저 적합성의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과연 교육과정의 적합성이란 무엇이며 분권화된 교육과정은 어떤 점에서 학생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이... , 교육과정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순서
먼저 적합성의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과연 교육과정이 적합성이란 무엇이며 분권화된 교육과정은 어떤 점에서 학생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는가?
이 문제는 사실상 교육과정 이론(理論) 전체와 관련되는 대단히 복잡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태를 단순화하여 말한다면, 이른바 ‘생활 중심’ 교육과정 이론(理論)을 따를 때에는 교육과정이 적합성이란 주어진 교육과정이 학생의 ‘필요’나 사회의 ‘요구’등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가에 의해 설명(說明)될 것이요, ‘학문 중심’ 교육과정 이론(理論)을 따를 때에는 교육과정이 적합성은, 각 학문의 ‘지식의 구조’가 학생의 인지적 발달 단계에 맞도록, 올바르게 번역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의해 설명(說明)되어야 할 것이다. 즉, 교육과정을 어떤 이론(理論)에 의해 해석하는가에 따라 적합성의 의미는 다르게 설명(說明)되어야 하는 것이다. 오히려 6차 교육 과정은, (비록 교육과정에 대한 제반 이론(理論)을 ‘절충·종합’한 모형을 따랐다고는 하지만 (pp. 30-38)) 적어도 실업계 과목을 제외한 보통교과 각론의 ‘내용’들이 제시된 형태로 보아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가깝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